이자 계산기 가이드 – 예금·적금 금융 이자 쉽게 계산하기

은행에 돈을 맡겼을 때 정확히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요?
이자 계산은 어렵지 않지만, 단리와 복리, 적금과 예금에 따라 계산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
기본 개념만 알아두어도 금융상품 선택에 큰 도움이 됩니다.

image 58

1. 예금 이자 계산 (정기예금, 단리 기준)

공식:
예치금 × 연이율 × (예치기간 ÷ 12개월) = 세전 이자
세후 이자 = 세전 이자 × (1 – 0.154)

예시:
300만 원을 연 4.0%로 6개월 예치할 경우
→ 3,000,000 × 0.04 × (6 ÷ 12) = 60,000원 (세전)
→ 60,000 × 0.846 = 약 50,760원 (세후)

2. 적금 이자 계산 (단리 기준, 월 불입)

공식:
월 불입금 × (n + 1) ÷ 2 × (연이율 ÷ 12) × (1 – 세금 15.4%)
※ n = 적금 기간(개월 수)

예시:
월 30만 원씩 6개월간 연 4.0%로 적금
→ 300,000 × (6+1) ÷ 2 × (0.04 ÷ 12) = 약 3,500원 (세전)
→ 세후 약 2,960원
총 수령액 = 원금 1,800,000원 + 세후 이자 2,960원 ≈ 1,802,960원

3. 복리 예금 이자 계산 (기초 개념)

복리는 이자에 또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.
상품에 따라 월 복리, 분기 복리, 연복리로 나뉘며
단리보다 장기적으로 이자 효과가 커집니다.

기본 공식 (연복리 기준):
최종금액 = 원금 × (1 + 이율)^년수

예: 100만 원을 연 5%로 3년 복리 예치
→ 1,000,000 × (1 + 0.05)^3 ≈ 1,157,625원

4. 자동 이자 계산기 활용

image 60

5. 이자소득세 참고

모든 은행 상품의 이자에는 15.4%의 이자소득세가 붙습니다.
원천징수로 자동 공제되므로 실수령액은 세후 금액 기준
비과세나 세금우대 상품은 일부 감면 가능 (예: 장애인, 고령자 우대 예금 등)

결론

예금은 이자를 한 번에, 적금은 매달 조금씩 쌓아가는 구조입니다.
단리는 단순하지만 복리는 장기적으로 큰 차이를 만듭니다.
상품 가입 전 꼭 세후 이자 기준으로 실수령액을 비교해보세요.

Leave a comment

광고 차단 알림

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.

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,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.